관련글: 출판통계: 도서 정가제 이후 책 값은 올랐나? https://esendial.tistory.com/8235

 

앞서 살핀 통계 자료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였습니다. 4년의 데이터 가지고는 책값이 오른 것인지 어떤지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워 앞서의 자료도 살펴보자고 했지요.

...

그랬는데.

대한출판문화협회의 자료실에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데이터가 없습니다. 엑셀파일이건, 홈페이지의 표건 간에 데이터가 없습니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자료실의 글이 전혀 없네요. 왜 그랬을까.

데이터를 구하자면 못 구할 것도 없습니다. 하지만 구하려면 국립중앙도서관의 데이터를 퍼오거나, 아니면 대한민국 국가서지의 데이터를 뽑아야 합니다. 전자는 그럭저럭 할 수 있지만 후자는 대략 난감. 이전에 데이터 확인하겠다고 덤볐다가 좌절한 적 있거든요. CD 데이터입니다. 2012년 자료가 그랬어요. 다시 찾아보면 국중도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걸 또 찾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일단 차근차근 해봅시다. 오늘 잡을 데이터는 데이터가 끊기기 전, 1994년부터 2003년까지 10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내용입니다.

데이터의 출처는 대한출판문화협회 자료실입니다. 스프레드시트에 붙여서 분석했고, 데이터 내용만 보면 이거 뭔가 싶어서, 이번에는 그래프로만 추려 확인합니다.

 

 

 

<그림 1> 1980∼2003년 만화 도서 발행 종수   <그림 2> 1980∼2003년 만화 도서 발행 부수

왼쪽 <그림 1>의 계열 1이 전체 도서의 발행 종수, 계열 2가 만화의 발행 종수입니다. 퍼센티지로 보면 확연히 다가오는데, 2003년 즈음에는 전체 출간 도서의 25.6%가 만화입니다. 흑백만화 말고 과학만화나 한자만화 같은 학습만화, 그리고 그리스로마신화 시리즈까지 포함해서 그럴 겁니다.

오른쪽 <그림 2>는 발행 부수입니다. 부수로 따지면 점유 퍼센티지가 더 올라갑니다. 2003년 기준으로 29.9%. 출판시장의 상당수를 만화가 잡은 셈이었지요.

 

그리고 10년의 데이터를 건너뛰고, 2015년의 데이터를 보면? 총 출판 시장에서 만화의 점유율은 13.69%입니다. 종이 아니라 부수로 따지면 8.93%. 확 줄었지요. 짐작가는 부분이 있지만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 아마도 대여점의 존재 유무가 저 데이터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거라 보거든요. 만화 시장의 성장은 그 당시 대여점과 함께 했으니까요.

 

궁금한 것은 전체 출판시장 그래프가 확 꺾이는 저 시점입니다. 만화는 크게 변동이 없는데 말이죠. 저 때가 언제냐 하면 1990년과 1991년입니다. 1990년에 전체 45,842종 248,673,018부였던 시장은 1991년에 26,919종 140,436,655부로 확 줄어듭니다. IMF 때는 97년이죠. 97년은 212,313,339부에서 98년은 190,535,987부, 그리고 99년은 112,506,184부로 줍니다. 종수 자체는 아주 크게 차이나진 않습니다. 97년 3만 3천부, 98년 3만 6천부, 99년 3만 5천부 정도니까요.

 

 

출판 시장 규모를 보면 IMF의 영향이 두드러집니다. 만화 통계는 80년부터 잡았지만 제가 보고 있는 출판시장 통계는 94년부터 03년까지니까요. 시장이 IMF 때 확 줄어듭니다.

 

<표 1> 10년간 출판 시장 규모 추정액(단위: 부, 원)

표가 아니라 그림이지만 일단 표라 설명은 넣습니다. 하여간 97년과 98년의 통계를 보면 출판시장의 허리가 접혔다는 생각마저도 듭니다. 97년. 98년, 99년을 비교해보세요. 그리고 2003년도. 최근 통계에는 시장 규모 추정액이 나오지 않지만, 계산법에 따라 2018년 통계를 집어 넣으면 2018년 시장 규모 추정액은 3조 2741억입니다. 어디까지나 추정액이고, 무엇보다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여러 출판사들이 있음을 감안하면 수치는 더욱 큽니다. 무엇보다 전자책 시장이 포함되지 않거든요. 대한출판문화협회가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하기 위해 받은 도서를 기준으로 만든 통계라 그렇습니다. 전자책 납본제도도 시행중이지만, 잘 되고 있는지는 저도 모릅니다. 아마 대형 출판사야 하겠지만, 장르문학의 소소한 출판사들도 하고 있는지는? 확신이 없네요. 이것도 찾아 봐야 하나.

 

 

본론으로 돌아옵니다. 중요한 건 부수나 종수가 아니라 가격이었지요. 원래 이 통계 들여다본 것이 도서정가제 이후 도서 가격이 오른 것이 맞나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서였고요. 그래서 예술분야의 도서 가격 확인도 해보자 했던 것인데 잠시 잊고 있었습니다.

 

마침 1994년부터 2003년까지의 분야별 평균 정가도 통계가 있습니다.

 

<표 2> 연도별 평균 정가 현황 (단위 : 원)

만화는 94년 자료가 빠졌고, 95년부터 나옵니다. 넵. 그 때는 만화 한 권 평균 가격이 2,555원이었군요. 통계를 보면 대체적으로 사회과학, 기술과학 도서가 비쌉니다. 예술이 비싸지 않을까 했는데 아니로군요. 전공서적의 영향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 10년 통계에는 재미있는 시도가 있습니다. 1995년을 100으로 놓고 나머지 수치를 상대 수치로 바꾼 '지수' 통계를 만들었더라고요. 연도별 평균 정가를 지수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 3> 연도별 평균 정가 지수 현황 (1995년을 100으로 잡음)

통계를 보면 대체적으로 상승 곡선을 그립니다. 철학, 종교, 학습참고가 매우 높은데...  2002년에 학습참고서가 미친듯한 가격을 보이는 건 왜죠. 368.2라니. 뭔가 아주 비싼 책이 스치고 지나간 모양입니다. 하기야 생각의나무에서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등의 매우 비싼 시리즈를 낸 것이 이 즈음 아닌가 싶은데, 그걸 설마 학습참고서에 넣었나? 아니면 매우 비싼 백과사전류나 세트가 나왔을지도 모릅니다.

 

지수 통계를 그래프로 봅시다.

 

<그림 3> 연도별 평균 정가 지수 그래프(1995년을 100으로 잡음)

총계의 지수 금액 그래프로 봅니다. 대체적으로 완만하게 상승중이지요. 98년에서 99년 사이에는 살짝 꺾이는 듯하지만 2002년에 갑자기 확 오릅니다. .. 아니 왜? 이 때 월드컵말고 또 뭔가가 있었던 걸까요?

 

 

평균 가격과 평균 면 수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이쪽도 봅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표 4> 연도별 평균 면수 현황(단위: 면)

평균 면 수만 비교하면 94년에 비해 03년이 적습니다. 그래프로 한 번 볼까요.

 

 

<그림 4> 연도별 평균 면 수(단위: 면)

95년에 급감했다가 다시 서서히 올라갔다, 01년에 다시 확 떨어집니다. 95년의 급감은 짐작가는 부분이 없는 건 아닙니다. 만화 통계가 95년부터 들어갔거든요. 하하하하하. 94년의 평 균 면수를 제외하고 본다면 01년에 왜 급감했나 싶기도 합니다. 이 때 얇은 책자들이 발행되었거나, 그럴 가능성도 있군요.

 

 

<표 5> 연도별 평균 면 수 현황 지수(1995년을 100으로 잡음)

지수로 봅시다. 지수로 보면 00년까지 늘어났다가 01년에 다시 줄어든 것이 보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잃어버린 10년(...)은 빼고 생각해볼까요.

2015년 이후의 통계는 만화를 포함한 것과 아닌 것이 있지만, 이전의 통계가 만화 포함이니 끼워 넣고 봅니다. 2015년 출판통계에 2014년 자료도 같이 있으니 그것까지 포함해서 총 5년 간의 데이터를 넣고 봅시다.

 

 

<그림 5> 2004~2013을 제외한 평균 면 수(단위: 면)

면수가 확 늘었지요. 2003년에 평균 251면이더니 2014년은 272면부터 시작합니다. 그 사이에 책들이 두꺼워졌네요.

 

 

<그림 6> 2004~2013을 제외한 평균 정가(단위: 원)

1994년부터 2003년까지, 그리고 2004년부터 2013년까지를 제외하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통계를 넣고 보면 확연히 드러납니다. 책값은 꾸준히 올라갑니다. 빨강선으로 친 그 다섯 개의 수치가 2014, 2015, 2016, 2017, 2018년까지 임을 놓고 보면, 그리고 그 사이가 휙 올라간 걸 감안하면 아마도, 점진적으로 책값은 올라왔겠지요. 물가상승률을 감안해도 오르는 것은 당연합니다. 10년의 데이터가 들어가면 더 완만하게 오르는 모습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하고요. 다만 도서정가제가 책값을 끌어내렸다고 하기에는 조금 부족해 보이지요? 물론 2015년의 책값이 내린 건 사실이지만 그래프 상으로는 단기적인, 아니면 일시적인 움직임으로 보이니까요.

뭐, 더 두고봐야 알 이야기입니다.

 

 

 

예술 책 가격 비교도 할까 했지만 앞서 통계에서 사회과학과 기술과학 등 전공서적의 가격이 더 높은 것을 보고 고이 마음을 접습니다. 2018년의 데이터만 봐도 총 평균 16,347원에서 평균 이하의 책값을 담당하는 1등 공신은 만화(5,573) 2등 공신은 아동서(10,876), 그 다음이 문학(12,419)입니다. 문학서 가격은 2014년 통계(13,229)와 비교하면 아직 낮긴 하나, 이게 가격이 떨어졌다가 아님을 대강 짐작하긴 합니다. 교과과정에서 한 학기 한 책 읽기 운동이 시작되며, 창비나 미메시스 등에서 1만원의 얇은 책을 여럿 냈고요. 민음사 등에서도 한국문학은 얇은 책으로 내는 것이 대다수라. 라이트노벨도 생각은 해야겠지요. 하기야 2014년과 2018년의 라이트노벨 출간 통계는 비교하기 쉽지 않겠지만.

하여간 문학서의 평균 가격은 내려갔지만, 전체 도서의 가격이 내려가지는 않았습니다. 평균가를 보면 그렇군요.

 

 

더 장기적으로 보아야 하지 않나 생각은 합니다. 하지만 독자가 책을 더 비싸게 사더라도, 그로 인한 수익이 저작자에게 돌아간다면 저는 찬성합니다. 안 돌아간다면? 시스템을 수정하고 고치고 개편해야지요. 뭐, 셋 다 같은 의미지만, 애초에 도서정가제의 시행 의미는 '창작자에게 적절한 보상을'이란데서 찬성했던 겁니다.

 

 

블로그에서 여러 번 이야기했지만 공공대출권과 관련한 보상금 제도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 이야기까지 길게 이어질 필요는 없는 것이고, 예술인기금이나 예술인연금 등으로 문화적 토양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상보다는 복지쪽일까요. 하여간 통계 잡는 건 이쯤에서 접고, 다음에 기회되면 국중도의 통계 자료를 더 찾아보겠습니다. 아마 있을 거예요.

 

일단 요약 : 물가상승 감안하면 안 올랐다고 볼 수 있음. 아마도.

 

 

엊그제 트위터에서 도서정가제와 책값 관련한 기사와 그 비판이야기가 올라왔길래 통계를 좀 뒤졌습니다. 통계청에서 나온 것도 있을 법하지만 공공기관 통계는 본격적으로 작업할 때 아니면 건드리지 않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프로그램입니다. 통계 보려면 깔아야 하는 이런 저런 프로그램이 너무 많은 나머지 본격적으로 볼 때 아니면 안 보겠다고 결심했습니다.

...는 반쯤은 농담, 반쯤은 진담입니다. 농담인 이유는 그보다 간단한 통계자료를 구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굳이 통계청이나 관련 기관을 뒤져 통계를 확인할 필요가 없었던 겁니다.

 

 

참고한 자료는 사단법인 대한출판문화협회(http://kpa21.or.kr/)에서 제공하는 출판통계입니다. 통계 파일에서도 밝혔듯, 이 통계 자료는 '사단법인 대한출판문화협회에 납본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작성'된 겁니다. 다시 말해 협회 회원이 아닌 출판사 자료와, 납본되지 않은 자료들은 통계에서 제외됩니다.

 

 

파일은 2016년 통계자료부터 스프레드시트 파일로 올라왔습니다. 2015년은 아마도 도서정가제 이후의 정가 인하를 홍보하기 위해서인지 hwp 파일의 홍보자료로 올라왔습니다. 2014년 11월 21일부터 시행되었으므로 2014년 통계부터 확인해야할 것인데, 그 이전 자료는 없군요. 더 찾아보면 나올 것이나...... (하략)

 

각 통계를 정리해 올려봅니다. 일단 이건 접어볼까요.

 

...더보기
<표 1> (사)대한출판문화협회. 2015년 출판 통계.

 

<표 2> (사)대한출판문화협회. 2016년 출판 통계.

 

 

<표 3> (사)대한출판문화협회. 2017년 출판 통계.

  

<표 4> (사)대한출판문화협회. 2018년 출판 통계.

 

적고 보니 이거 표가 아니라 그림이지만, 일단 넘어갑니다.

만화는 통계에 넣으면 수치가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별도로 뺐나봅니다. 2018년 자료로만 봐도, 만화는 평균 가격이 5573원입니다. 전체 평균이 17611원이고, 총계로도 16347이니 대략 1300원 정도가 확 내려가지요. 만화가 평균에 포함되느냐 아니냐에 따라 굉장히 달라집니다.

하여간.

가격 평균만 놓고 보면 미묘합니다. 일단 통계는 만화는 제외한 수치로 뽑았습니다.

 

연도

신간발행종수

평균발행부수

평균 정가(원)

정가 증감(%)

평균 면수(쪽)

면수 증감(%)

2014년

41379

2089

₩17,232

 

290

 

2015년

39023

1984

₩16,505

-4.2

298

2.7

2016년

55074

1484

₩18,249

10.6

303

1.6

2017년

53795

1422

₩17,263

-5.4

297

-1.8

2018년

56809

1653

₩17,611

2

294

1.2

 

앞에서 언급했듯이 도서정가제 시작 시점은 2014년 11월입니다. 2015년에는 확연히 떨어졌어요. 그러한데, 2016년이 되면 가격이 확 오릅니다. 그러다가 다시 2017년에는 가격이 떨어졌다가, 2018년에는 또 약간 오름. 그래도 2014년과 비교하면 크게 오르진 않았습니다. 그리고 쪽수도 생각보다 많이 증감이 없어요. 표로 보는 것보다는 그래프로 보는 것이 편하겠지요.

 

<그림 1> 연도별 신간 발행 종수(왼쪽)  <그림 2> 연도별 평균 발행 부수(오른쪽). 2014년~2018년

 

 

<그림 3> 연도별 평균 정가(왼쪽)  <그림 4> 평균 면수(오른쪽)

 

하지만 봐도 뭔 소리인지 모르겠다.OTL

최근 5년의 상황이라지만 2014년 말부터 적용된 도서정가제가 영향을 끼친 건지, 2015~16년 사이의 수치가 특이하게 튑니다. 특히 2016년이요. 신간 발행 종수도 확 늘었고, 그 때 권 당 가격도 확 늘었고, 면 수도 확 늘었습니다. 2015년의 평균 정가 수치도 희한한게, 그 때 확 내렸거든요. 아무래도 출간 18개월 지난 도서의 정가 조정 및 절판을 위해 가격 조정한게 영향을 미친게 아닌가 싶습니다. 대체적으로 출간수는 늘어나지만 평균 발행 부수는 1500~1600 언저리인 모양입니다. 이 수치에 『82년생 김지영』과 같은 폭발적 베스트셀러가 미친 영향도 있을 듯하고요. 예상외로 도서 가격은 심각하게 변동이 있거나 하진 않습니다. 평균 정가가 오르고 있지만 이건 문학서와 예술서 쪽의 가격 변동도 별도로 비교할 필요가 있고요. 데이터는 있으니 오늘 마실 나갔다 오면 영역별로 비교해보겠습니다......... 이번 주말은 이 데이터 갖고 좀 놀아야겠네요. 다른 보충 데이터도 하나 있으니 그쪽도 참고하면서.

간략하게 압축하여 책 내용을 요약하면 2010년에서 2012년 즈음을 배경으로한 일본 서점계의 문제와 자구 노력을 다룬 개인 면담 모음집쯤 됩니다. 일본 서점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분석한 이야기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시기에 저자가 일본의 여러 서점을 방문하며 서점의 운영자나 직원 등과 인터뷰하고 밀착 취재하여 모습을 자신의 눈에서 그려낸 이야기에 가깝네요. 있는 그대로 그린 것은 아니고, 중간 중간 저자 자신의 고정관념이나 편견 등에 대해 부끄러워 하는 대목도 있다보니 분석서라고 하기도 그렇고, 르포르타쥬 쯤 되지 않을까요.


언젠가 B님이랑 대화하다가, 일본은 전체 서점의 2%가 줄어들었을 때 호들갑을 떨며 서점이 죽어간다고 했다는데 한국의 상황은 말해야 손만 아프죠. 역사가 오랜 작은 서점들은 대부분 사라졌고 남아 있는 것은 비교적 최근에 생긴 젊은 사람들이 운영하는 전문 서점이거나, 체인형인 대형 서점이거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참고서적 판매를 하는 서점이거나 합니다. 요즘처럼 대학가 임대료가 오른 시점에서는 유지비를 감당할 작은 서점은 드물지요. 그럼에도 몇몇은 남아 있고 몇몇은 또 생기고 있으니 그래도 반가울 따름입니다.


읽으면서 아예 한 손에 포스트잇을 들고 계속 체크하고 있었습니다. 읽다보면 '일본의 서점사람들은 이런 노력을 기울였는데, 한국의 서점인은 과연 어떠한가?'라는 의문이 듭니다. 그 노력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그런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어요. 한국의 서점에 대한 밀착 취재기가 있는지 조금 더 찾아봐야겠습니다. 뭐, 요즘 도서정가제와 엮어서 지역 서점 살리기를 하고 있다지만 결론만 놓고 보면 중간도매상(유통업자) 배불리기가 되더군요. 유통업자가 마진 10%, 서점이 10%가량 차지하는 셈이니 말입니다. 이익 10% 놓고 보면 들인 수고에 비해 그리 도움이 되는 금액은 아닌 것 같습니다. 뭐, 서점 매출 상황을 잘 모르니...



하여간 일본의 서점 상황을 직설적으로 보여주는데, 한국의 소매업-슈퍼마켓 상황과 상당히 닮았습니다. 대형 체인 서점들이 들어오면서 지역의 작은 서점들은 밀려나고 특색을 보이지 않으면 결국 문을 닫고 맙니다. 거기에 도서 매출은 점점 줄어가고 사람들은 전자책을 읽습니다. 이전에는 서가를 배치하고 구성하는 것이 주 업무였던 서점원들은 위와 출판사에서 지시하는대로 책을 배열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서점에서 책을 사는 것보다 아마존에서 원하는 책만 쏙쏙 집어 봅니다.

그리고 아마존은 페이지랭크 기법을 통해 당신이 원할 수도 있는 책을 보여주지요. 그게 은근히 사람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기도 합니다.


p.72

(중략)서점에 있는 사람이 느끼기에 책을 분류하는 것이 그리 간단한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구글은 페이지랭크Page rank라는 분류법을 채용한 것 아닙니까. 서점으로 치자면 서가 분류 같은 일은 어려워서 하기 곤란하므로 베스트셀러 순위로 진열하자는 것과 같아요. 쥰쿠도 서점 일반서 베스트셀러, 쥰쿠도 경제경영서 베스트셀러 같은 서가를 만든다면 간단한 일이에요.


p.73

(중략) 이와나미쇼텐에서 출판한 <구글 문제의 핵심>에서, 저자는 구글의 페이지 구현 방식은 미인 투표와 같다면서, 그것이 결코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모두가 읽는 책이 좋은 책이라고 할 수만은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가상가게는 실물가게를 이기기 쉽지 않습니다. 직접 책을 보고 비교하고, 편집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실물을 볼 수 있는 가게니까요. 또 서점원의 배려를 통해 독특한 배치나 구조를 볼 수 있고요. 아무리 아마존에서 상품을 모아 진열해서 특설전을 한다고 해도, 영풍문고의 만화코너에서 보이는 유머를 이길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러고 보니 영풍문고. 교보에서는 별로 그런 생각을 해본적이 없는데 영풍의 몇몇 코너들은 서점원들의 능력을 보여주고 발휘하는 장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서점이 없진 않군요.'ㅅ'



서점을 좋아하고 책을 좋아한다면 꼭 한 번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지루할 지 모르지만 다양한 모습의 서점과 서점원, 그리고 종이책과 전자책, 책의 유통구조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됩니다. 다른 서점 방문기와는 차별성을 가지니 그것만으로도 읽어볼 가치가 있습니다.




이시바시 다케후미. 『서점은 죽지 않는다: 종이책의 미래를 짊어진 서점 장인들의 분투기』, 백원근 옮김. 시대의창, 2013, 1만5천원.


번역은 조금...

몇몇 부분에서 일본식 어투가 있더군요. 고쳐서 해주지..=ㅁ=


그리고 이런 인문사회서적으로는 드물게, 구입했습니다. 하하하; 이런 서점 장인들이 있으니 서점은 죽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