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하는 전시회지만 찾아간 것은 몇 번 안되어서, 이번에야 히나인형 단이 동일하다는 걸 눈치챘습니다. 하하하. 하기야 이런 건 아마 각 문화원마다 하나씩 놓고 있지 않을까 싶더라고요? 그러니 히나마쓰리 전시회할 때는 기본 인형은 동일하게하고 옆의 전시회만 바꾸지 않나 싶더랍니다.'ㅂ'
3월 3일까지 한다고 들었는데 그 사이 구정 연휴는 쉽니다. 일요일도 쉬지만 토요일은 합니다. 오전 10시부터 여니까 시간 맞춰 가시면 조용히 보실 수 있을 겁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6CA4654E1425A34)
이 인형도 매번 바뀌나...? 그건 모르겠네요. 하여간 맨 오른쪽은 좌대신과 우대신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A044654E1425A23)
사콘과 우콘......?
『내추럴』에서 보고는 홀딱 반했던 일이 벌써 몇 년 전인가요. 이거 옷을 만들어보겠다고 설치던 때가 어언 언제...
출입문 맨 왼쪽 귀퉁이에 이게 있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8A34654E1425A25)
왼쪽 벽면에는 이런 인형들이 늘어섰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0554654E1425B2C)
이건 궁인들. 맨 앞이 가장 높으신 분이랍니다. 옷 자체가 다르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3E74654E1425B29)
그리고 악기를 들고 있는 다섯.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67F4654E1425B26)
이런 히나인형 벽걸이도 여러 개 걸어 두었더군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5084654E1425B29)
앞이 교인형, 뒤가 하카타인형.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0354654E1425B2C)
이건 와시인형. 한지와 비슷한 화지(와시, 和紙)로 만든 인형입니다. 다른 것보다 옷, 그러니까 종이 자체가 화려해서 멋지더리고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2D04654E1425C2A)
신랑신부인형. 음, 신랑이 더 못생겼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FED4654E1425C2D)
오야마인형.
보는 내내 『세상이 가르쳐 준 비밀』(우유당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하하하. 여기 있는 인형은 손가락이 다 있더라고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DE84654E1425C1F)
이건 테마리. 공예품으로도 많이 만드는 걸로 압니다.
앞에는 또 히나인형이 있군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D2A4654E1425C30)
이것도 와시 히나인형.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C694654E1425C03)
이것도 와시. 앞은 다른 공예인형입니다. 교인형이나 하카타인형처럼 틀로 찍어낸 뒤에 채색하는 인형 같더군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F1A4654E1425D1F)
이런 족자형태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E544654E1425D20)
다치비나. 그러고 보니 앞의 족자도 다치비나였군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D6B4654E1425D21)
이쪽은 나가시비나.
배 같은 것에 넣어 띄워 보내는 인형입니다. 소원을 빌 때 주로 쓰던 것 같은데, 미야베 미유키의 『그림자밟기』에도 등장합니다. 물론 형태는 조금 다릅니다. 거기서는 종이로 접어서 보냈으니까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E384654E1425D2C)
다치비나의 족자 형태.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3584654E1425D28)
그리고 이게 히나인형 세트입니다. 아마 가장 고급형일거라 생각합니다. 7단이나 되잖아요.
여기까지가 기존 인형들이었고, 이 오른쪽으로는 공예 전시가 있습니다. 일본 전통문화와 관련된 공예전시라고 생각하시면 비슷할지도..? 아니, 전통문화와 관련없는 것도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42A4654E1425E1A)
닥종이인형 같군요. 할머니가 꽃을 따서 고이 품에 안고 계십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0634654E1425E1D)
다치비나.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7E54654E1425E25)
이건 보고서 홀랑 반했습니다. 연잎 그림 다섯 장인데 바탕은 금색으로 반짝 거리고 저 연잎의 색이 참 멋지더군요. 동양화 채색인데 굉장히 현대적인 감각이더랍니다.+ㅅ+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FEF4654E1425E2C)
그림 하나 크기도 그리 크진 않은데 멋있습니다. 아니, 정확히는 제 취향입니다.=ㅁ=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5D94654E1425F34)
제목이 이파리.... ... 다른 이름으로 번역해주시면 안될까요. 이파리보다는 잎사귀가 낫잖아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8774654E1425F32)
이건 가죽그림. 그것도 절기에 맞춘 그림입니다. 맨 왼쪽의 도깨비는 절분, 그 옆은 히나마쓰리. 맨 오른쪽은 단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FF24654E1425F2D)
가죽그림. 이것도 만주사게라고 그림 제목을 넣었는데, 그냥 만주사화라고 번역해서 넣어도 좋았겠지요.... 살짝 요철이 있는 입체화더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EB64654E1425F2D)
쑥쑥 자라거라. 이것도 입체화. 종이 공예중 입체가 있게 그림 형태로 만드는 것이 있는데 이게 그런 겁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CD24654E1425F30)
조금 뜬금없던 비스크 인형. 제목이 봄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4734654E1426027)
이건 패치워크랑 퀼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8284654E1426016)
이쪽도 마찬가지.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ECB4654E142602D)
이것도. 퀼트작품은 이 세 개가 있더라고요. 보고 있노라니 손이 근질근질...;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FF64654E142602A)
탁자보 위에 올리는 장식 천. 이건 자수입니다. 오른쪽 아래는 벚나무 전등.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3A14654E1426029)
이런 자수더라고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E234654E142612E)
십자수 탁자보.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2E04654E142612A)
말린꽃 장식물. Welcome이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4A84654E1426129)
壽. 꼬맹이들이 매달려 있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6AA4654E1426118)
이런 가디건도 걸려 있더라고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3AD4654E142611B)
침대 조명. 근데 제 취향에는 조금 많이 화려합니다. 앞서 나온 한지 벚나무 같은 것이 더 취향이지만, 사실 침대 스탠드 안 씁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E5E4654E142622F)
이건 염직의 한 종류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림을 보니 중국 고사의 하나를 그림으로 옮긴 것 같네요. 당랑거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94A4654E1426233)
이쪽도 자수 족자. 앞서는 프랑스자수였는데 이쪽은 전통자수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A6E4654E1426224)
그러니까 이런 거.......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AE74654E1426214)
이건 뭐더라. 이것도 염색 공예였던가.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8874654E1426325)
가운데에도 여러 전시물이 있었는데 말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DD14654E142632F)
이쪽도 히나인형이기는 한데, 펠트 공예. 음. 이런 분들은 히나 인형으로가 아니라 조왕신으로 모셔도 될 것 같은 풍채를 지니셨습니다.
하여간 가볍게 한 번 둘러볼만한 전시회입니다. 3월의 히나 전시회랑 7-8월의 세시풍속 전시회, 돌하우스 전시회, 1월의 전시회 등은 반복적으로 돌아가며 하는데 챙겨보다 보면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챙겨보는 것도 만만치 않으니, 다음 전시회도 볼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일본문화원 홈페이지에 가면 올해 전시나 상영 일정이 있는데 제일 궁금한 건 이가라시 다이스케의 『리틀 포레스트』 영화 상영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역시 보러 가기 어렵겠지요. 하하하;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