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조, <나는 오후에 탐닉한다>, 갤리온, 2008
카를로 페트리니,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 이후, 2008
피터 멘절, <헝그리 플래닛>, 월북, 2008

작은 탐닉 시리즈인 나는 오후에 탐닉한다를 먼저 읽고, 헝그리 플래닛을 읽고, 슬로푸드 맛잇는 혁명을 나중에 읽었습니다. 하지만 책 크기도, 작가도, 분위기도 다른 책들임에도 일맥 상통하는 것이 있습니다.

강봉조씨는 사진작가입니다. 하지만 사진뿐만 아니라 공사도 하고, 집 인테리어도 하고, 직접 페인트칠도 하며 집 수리도 잘 합니다. 시카고에 예쁜 집을 한 채 사놓다 보니 예산이 부족해서 집 수리는 직접 몸으로 뛰어가며 해서 그런 것이겠지요. 마음에 안드는 부분을 조금씩 고치며 아기를 키우며, 집 옆에 텃밭을 만들고 마을 공동 채소밭도 가꾸고, 주변 사람들의 조언을 받아 맛있는 채소를 직접 키웁니다. 농약도 화학비료도 쓰지 않고, 바둑이의 배설물과 여러 가지를 모아 퇴비를 만들어 채마밭에 줍니다. 검은색의, 비옥해보이는 토양에서 기른 채소는 밥상에 올라 식구들의 입을 즐겁게 합니다.


슬로푸드에서 말하는 맛있고 건강한 음식들은 이런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유를 대량생산하는 홀스타인종이 아니라 토착종으로, 적지만 진한 우유를 생산해 마을 특유의 치즈를 만들 수 있게 하는 소들의 이야기와 재래종의 다양한 옥수수를 키우려 하는 인디오들의 이야기도 이런 맥락에 닿아 있겠지요. 세계은행의 추천대로 해안가에 참새우 양식장을 만들었지만, 새우에게 주는 먹이가 부패하고, 대량의 항생제를 투여하며 해안은 망가지고 망그로브 숲은 사라집니다. 그 결과는 쓰나미로 돌아옵니다. 2005년의 대 지진으로 인한 대형 해일은 해안을 덥쳤고, 파도 완충판 역할을 하는 망그로브 숲이 사라진 그곳은 엄청난 피해를 입습니다. 소위 말하는 엘리트들이 그 지역을 "조금 더 잘 살게"하겠다며 돈을 벌기 위한 참새우 양식장을 만들었고 남은 것은 쓰나미의 피해뿐입니다. 만약 원주민들이 하던대로 작물 재배를 했다면 휴경기간에 참새우를 길러 여분의 수익을 올리고 땅은 또 잠시 쉴 수 있었을 거랍니다. 참새우 양식은 했습니다. 다만 대량이 아니었고 환경친화적으로 했다는 것이 달랐을 뿐입니다.

인디오들이 재배하는 대부분의 옥수수도 다국적 종자회사에 특허권이 있다는 것은 몰랐습니다. 한국에 존재하는 수많은 작물도 아마 그 종자회사들이 특허 취득을 했을겁니다. 미스김라일락이 그렇듯이 말입니다.


헝그리 플래닛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식문화를 보여줍니다. 평균적은 아닐지 몰라도 그 나라를 다니다보면 쉽게 만날 수 있는 가족들의 집을 방문해 그들의 1주일치 식량을 구입하고 사진을 찍고 함께 생활합니다. 북쪽으로는 그린란드, 적도 근처의 나라들, 그리고 차드의 난민촌, 미국 텍사스, 일본의 오키나와, 중국의 농촌과 도시 근교 마을. 하여간 다양한 여러 나라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상합니다. 사진에 보이는 식문화는 그리 다양해보이지 않습니다. 절반 정도의 국가에서는 청량음료와 맥주와 콜라가 빠지지 않습니다. 특히 콜라! 일주일 마시는 콜라를 모아 찍은 사진을 보면 정말 무섭습니다. 4인 가족이 저렇게 많은 콜라를 마신다니, 그 여분의 칼로리는 어디로 갔을까 싶습니다. 아이들의 입맛은 인스턴트로 향하고 있고 좋아하는 음식의 상당수가 패스트푸드랍니다. 점차 지구촌의 입맛은 하나로 모아지고 있는 걸까요. 슬로푸드와 헝그리 플래닛을 읽는 동안 서로의 글이 번갈아 떠오릅니다.



무거운 이야기는 이정도.
헝그리 플래닛은 책이 굉장히 무겁습니다. 그래서 읽는 도중에 몇 번은 들고 나가기 무겁다면서 슬로푸드를 들고 나갔습니다. 슬로푸드는 판형이 헝그리 플래닛보다 크지만 두께는 얇고 무게는 훨씬 가볍습니다. 지질의 차이입니다. 헝그리 플래닛은 전면 컬러화보에 아트지를 썼으니 무거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고로 치한이 달려든다 싶으면 주의하세요. 이 책을 휘둘렀다가는 과실치사일겁니다. 정당방위를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잘못 맞으면 살인 미수까지도..? 하지만 헝그리 플래닛의 매력은 그 생생한 사진들입니다.
보고 있는 내내 집안의 일주일 식량을 몽창 꺼내 찍어보고 싶은 충동에 시달렸습니다. 하지만 저렇게 일주일치 식량(간식)을 한 번에 사두면 하루면 없어지지 않을까 싶은데요. 특히 아이스크림은 이틀이면 동이 날겁니다. 그런 무서운 일은 못하죠.

.. 그러고 보니 하겐다즈가 사진에 한 번도 등장을 안 한 것 같은데...?;
B에게서 금귤 마말레드를 받은 것은 꽤 전의 일입니다. 아마 2주정도? 저도 정확하게 기억은 못하지만 S에게 책을 갖다주려다가 B에게 줄 빈병이 있어서 B에게 책을 맞기러 다녀오던 날의 일이고, 그날은 토요일이었으니 아마 3일이었을 겁니다. 그럼 2주까지는 아니네요.
B가 금귤 마말레드를 만든 것은 그보다도 더 전의 일입니다. 금귤이 들어가기 직전, 말랑말랑하니 약간 무른 금귤을 사다 만든다 했으니까요. 색 때문에 브라질 산 흑설탕은 안쓰고 뜨레봄의 유기농 설탕을 쓴 모양입니다.


사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은 제방이 많이 어둡기 때문입니다. 옆에서 같이 포즈(?)를 취하고 있는 것은 목장의 신선함이 살아 있는 우유. 집 앞 슈퍼마켓에 갔더니 이 우유가 용량별로 3개가 나란히 있었습니다. 가장 작은 병을 노리고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가 사진 찍기 전날 한 병 사들고 왔습니다. 900원인가 1천원 정도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잠깐 딴소리를 하자면, 파란뚜껑 우유와 서울우유의 포장 방식이 왜 다른가를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파란뚜껑(매일이었나요;)은 안에 별도의 캡 없이 뚜껑으로 밀봉이 되어 있는데 서울우유는 뚜껑을 열면 안에 다시 비닐로 밀봉이 되어 있어서 뜯어야 하지요. 비닐을 뜯어 내면서, 왜 뚜껑이 있는데 밀봉을 했을까 싶었는데 이 병을 비워서 들고 다녀보니 뚜껑만으로는 완전 밀폐가 안됩니다. 우유를 담았더니 아주 살짝 새는군요. 그리하여 파란 뚜껑을 집어다가 닫아보니 잘 맞습니다. 빨간뚜껑은 놔두고 매일의 파란뚜껑으로 닫으면 밀봉이 됩니다. 번거롭게 왜 이리 만들었을까 싶지만 속 사정은 알 수 없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B가 잼을 담아준 병은 P5의 푸딩병입니다.


그리고 나무위에 빵집의 쌀 바게트를 프라이팬에 살짝 구워서 일요일 아침으로 G에게 주었습니다.
토요일에 빵을 사러 갔을 때, "쌀 바게트는 다음날 프라이팬에 살짝 구워 먹으면 더 맛있어요."라는 빵집주인언니의 추천을 받아서 말입니다.

대부분의 바게트는 만든 다음날이 되면 무기로 변신합니다. 파*바게트나 뚜*주르나 가리지 않습니다. 뚜*주르는 다음날이 아니라 만든지 몇 시간 뒤면 슬슬 무기로 변신하기 시작합니다. 종이를 씹어 먹는 질감이랄지, 먹고 나면 입안이 헐어서 고생한다든지라는 반응이 나오기도 하죠. 하지만 이 쌀 바게트는 다릅니다. 다음날도 쫄깃한 식감이 살아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라이팬에 살짝 앞뒤를 구운 모습입니다. 색이 연하게 날 정도로만 구웠습니다.
쫄깃하고 담백하고. 오오~. 바게트라는 생각이 안들 정도입니다. 쌀 때문인지 하루 지난 정도로는 식감 변화가 없군요. 우후후~
거기에 감귤 마말레드를 발라 먹습니다. 집에서 만든 잼은 달지 않아서 저도 한 입 얻어 먹었는데, 확실히 금귤만으로는 쓴 맛이 강하지 않나봅니다. 게다가 B...ㅠ_ㅠ 채를 가늘게 썬 것 아냐? 마말레드의 묘미는 껍질 씹히는 맛인데 그게 덜해. 잼으로는 맛이 좋지만 마말레드로서는 많이 부족한데. 다음에 만들 때는 씹는 맛 고려도 해주세요. 하기야 금귤은 껍질도 얇고 해서 그리 씹는 맛이 안나겠지.
그래도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ㅠ<
어제 사진 정리를 했더니 글 쓸거리가 총 7개 나오는군요. 주말까지 다 올릴 수 있을까 조금 걱정됩니다. 다음주까지 넘어갈 가능성이 높은데요.

갈까 말까 망설였지만 결국 호기심이 불쾌감을 이겼습니다. 그리하여 지난 토요일에 이대 앞에 있는 "나무위에 빵집"을 다녀왔습니다.
(불쾌감의 원인은 설명 하지 않고 넘어가겠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개인적인 이유라는 정도만..;)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이대역에서 나와서 이대 정문 방향으로 걸어가다가 APM 건물 오른쪽 골목을 들어가서 대흥식당이 있는 골목으로 다시 돌아가면 된다고 하던데, 대흥식당이 있는 골목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APM 옆 골목을 죽 내려가다가 다시 올라오며 찬찬히 바라보았더니 대흥뚝배기라는 상호가 보이더군요. 그 골목 안에 있습니다.
좀더 알기 쉽게 표현하자면, 구 아지바코-현 아지모토의 바로 아랫골목에 있습니다. 그러니 안보이죠. 계단을 내려가서 대흥식당 앞을 지나 조금만 걸어가면 오른쪽으로 작은 빵집이 뜬금없이 나올겁니다. 제가 찾아온 걸 보고 신기해하시더군요.'ㅂ'

가격표는 어디까지나 참고용이고, 그날그날 나오는 빵이 다른가봅니다. 제가 갔던 지난 토요일에는 신작 빵이 2종 나와 있었습니다. 하나는 쑥과 찹쌀이 들어간 빵이었고 하나는 럼에 담근 건포도가 들어간 빵입니다. 이리저리 계산기를 두드리시더니 즉석에서 가격을 가르쳐 주십니다. 갈 때마다 어떤 빵이 나올지 기대하는 것도 재미로군요. 호오~

이날 사온 빵은 건포도 빵(2800원)과 호두가 들어간 쌀 바게트(4500원. 호두가 들어가지 않은 것은 4천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기 비교를 위해 A4 위에 올려놓고 찍었습니다. A4 길이와 비슷하니 바게트 길이가 30cm 정도. 폭은 10cm 가량으로 추정됩니다. 건포도 빵도 상당히 컸고요. 가격 대 성능비를 생각하면 상당히 좋습니다. 특히 저처럼 (자체) 식이제한이 걸려 있는 경우엔 더욱 말입니다. 3만원 이상이면 배달도 해준다는데, 아마 저는 직접 가서 사먹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빵이 나올지 가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는게 호기심을 더 부추기지 않습니까.

둘다 맛이 담백하니 괜찮습니다. 심심한 빵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딱입니다. 하지만 설탕이 많이 들어간다든지 진한 맛을 좋아한다든지 하면 이 빵들은 너무 재미없지 않을까 싶고요. 쿠키나 다른 종류도 몇 있다고 들었는데 어떨지 궁금합니다.
시식하라고 주신 쑥과 찹쌀이 들어간 빵도 맛있었습니다. 다른 빵집에서처럼 찹쌀이 떡진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쫄깃한 식감을 줍니다. 처음에는 색만보고 클로렐라인줄 알았습니다. 색이 상당히 진하더군요. 쑥이 들어간 빵은 생각을 해본적이 없는데 이렇게 먹으니 쑥향이 나는 빵도 좋습니다.
쌀 바게트에 대한 리뷰는 같이 올라갈 다른 글에 덧붙입니다.

최종 평가.저는 좋아합니다. 두 번 이상, 아니 꽤 자주 갈 빵집입니다.^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