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복은 洋服이라, 서양식 복식을 의미하지요. 사실 양복이 아니라 정장이라고 적는 것이 더 정확할 겁니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근대의 남성 복식 중 슈트, 정장이 어떻게 진화했는가를 차근차근 설명하는 책입니다. 책 자체는 상당히 흥미롭고 재미있으나 아쉬운건 사진이 흑백이라는 겁니다. 컬러였다면 더 좋았을 건데, 대신 책 가격은 급상승했겠지요.


책 표지의 그림은 레이엔데커의 그림(p.84)입니다. 위키피디아에 다른 그림도 많고 그림도 상당히 멋있으니 나중에 확인해보세요.(링크)




구글링으로 찾은 그림으로, 이 버전이 흑백으로 실렸습니다. 크흑, 그러니까 흑백으로는 의복 질감 확인하는 것은 무리라고요! 컬러였어야 했다고 생각하지만, 생각해보니 원본도 컬러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본론으로 돌아가, 시대별, 그것도 굉장히 세부적인 근대 남성 복식사를 훑는데는 이 책이 참 재미있습니다. 사진자료가 많아서 훑어보는 재미가 있고, 여러 소설에서 돈 있는 남자를 수식하는데 자주 등장하는 아르마니의 슈트도 56년쯤의 사진으로 하나 나오는데, 생각보다는 제 취향이 아니라서 그것도 재미있었습니다. 하기야 예전 유행 슈트니까 그렇기도 하겠지만 몸 선을 따라 천이 흐르는 건 좋은데, 그게 펑퍼짐해 보였습니다. 그림과 사진의 차이도 있을 거지만 대체적으로 몸 선에 약간 넉넉하면서도 몸의 라인을 잡아주나, 활동하기 불편하게 딱 달라붙는 옷들은 취향이 아니더랍니다. 최근 정장 흐름 중에서는 꽤 전의 일이지만 은갈치 양복을 제일 싫어했습니다. 그건 아무리 몸 좋은 사람이 입어도 허용 안되는 범위더라고요.



각 시대별 사진과 흐름을 보면 슈트가 어떻게 남성들의 정식 차림으로 인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군복 디자인의 영향도 조금은 받았고, 귀족들의 유행도 있었고, 나중에는 군복을 통해 거꾸로 확립이되었다고 보기도 하더군요. 20세기에 들어서면 확연히 슈트의 모습이 잡힙니다.


20세기 후반의 슈트 유행이나 여성들의 슈트 유행도 언급되어 있으니, 의복사 좋아하신다면 추천합니다. 다만, 책의 부제인 '단순한 아름다움이 재단한 남성복 400년의 역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남성복은 만들어 보면 알겠지만 절대 단순하지 않다고요..... 인형옷 재단할 때도 남성복 재단이 매우 어려운 이유가 그겁니다.



크리스토퍼 브루어드. 『모던 슈트 스토리』, 전경훈 옮김. 시대의창, 2018, 16800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