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단은 트위터에 올라온 어떤 캡쳐 사진이었습니다.

어느 만화에 달린 댓글로 보이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애한번도안해본놈이 그리는만화같다."

"이세계 한 번도 안갔다 온 놈들도 이세계 만화 그리는데 뭐가 불만이냐"


윗 글에 대한 반박이 아래입니다. 이건 반박 불가라는 제목으로 돌아왔고 대체적으로 그에 동의하는 걸로 보이지만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후자 맥락의 이야기를 제가 많이 들어와서 그런지도 모르지요. 흔히 말하면 이런 겁니다.


"너도 애기 낳아봐. 애기 낳아보면 달라질 걸?"

"아기도 안 키운 사람이 뭐 이런 걸 해?"


위 문장들 중 아랫 것은 유아동청소년 업계에 근무하는 사람 중 미혼, 비혼, 무자녀인 사람이 자주 듣는 소리입니다. 최근 비혼 관련한 트윗이 여럿 돌아다니다보니 저 연애 이야기를 들었을 때도 먼저 그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맥락은 다르지만 경험하지 않은 것을 그리려면 상상력과 현실성이 둘 다 있어야 합니다.



잠시 제가 개연성과 현실성을 두고 헷갈린 덕에 이야기가 오가기도 했지요. 일단 국어사전(다음;)에서 찾아보니 개연성은 문학에서 이런 맥락으로 등장하는 단어인가봅니다. 문학용어로 개연성의 세계라는 것이 있더군요.


[문학] 비교적 현실성이 있는 허구의 세계. 소설은 작가가 꾸며 낸 허구의 세계이지만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므로, 현실의 인과적 법칙이 일정한 정도 적용되는 세계이다.


판타지건 SF건 대부분의 경우 인간이 주인공입니다. 그렇지 않다하더라도 인간이 읽고 이해할 것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에 갖는 개연성이란게 있습니다. 전 이걸 현실성이라 표현했고요. 현실세계에서만 현실성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해리 포터 시리즈의 이야기는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지만 그 배경 설명과 설정은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또한 현실성을 가집니다. SF의 경우 설정과 과학적 설명 혹은 논리적 설명에 기반하여 이런 개연성과 현실성을 획득합니다. 쉽게 요약하면 말이 되는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겁니다.



그럼 맨 처음 문장들로 돌아갑니다.


"연애 안 해본 사람이 그린 만화 같다."

"이세계 안 가본 사람도 이세계 만화 그리는데 무슨 문제냐."


양쪽이 지적하는 바는 다릅니다. 연애 안 해본 사람이 그리거나 쓰거나 해도 말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개연성이고 현실성입니다. 평범하고 잘 난 것 없는 아주 무난한 주인공에게 거기 등장하는 다른 미인, 부자 등이 반해서 연애를 시작하거나 고백을 해온다고 해봅시다. 보통은 아무런 사전 배경이나 설정 없이 그런 이야기가 등장하면 첫 문장 같은 반응이 나올 겁니다. 거기에 개연성과 현실성을 부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밑바탕입니다.


"이건 미소년(소녀)연애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이건 라이트노벨이다."


그쪽 판은 원래 그런 장르가 있으니까 이것도 그냥 눈 감고 넘어 가는 겁니다. 하지만 그러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고 그냥 이야기를 던져 놓으면 저런 반응이 나오겠지요. 개연성도 현실성도 부족한 이야기인 겁니다. 주인공에게 반하기 위해서는 평범한 줄 알았더니 그렇지 않았다는 설정이 있거나, 평범하기 때문에 평소 평범한 삶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 반한다거나 하는 이야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작가는 그런 설정을 말이 되도록 잘 녹여서 읽는 사람을 설득시켜야 합니다.


첫 문장이 말하는 건 그런 설득에 실패했다는 겁니다. 거기에 대고 아랫 문장은 자격을 논하고 있지요. 이세계 안 가본 사람도 이세계 만화를 그리지만 그게 가능한 것은 그 사람이 이세계를 그럴듯하게 잘 그려냈기 때문입니다. 같은 이세계라도 그런 설정이 부족하면 재미없다 소리가 나오겠지요.



뭐, 원작이 어떤지 몰라서 첫 번째 문장이 옳은 비판인지 아니면 넘겨짚기인지 모르지만 생각나는 걸 두서없이 써보았습니다.'ㅅ'a

+ Recent posts